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107건)

원풍정(願豊亭) 소해정(蘇海亭) 만주사당(晩洲祠堂) 경의재(景義齋 )
북구 소해로 11 (일곡동)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은 조선 시대 광주목 석제면에 속했고, 호구총수에 일곡촌(一谷村)이 기록되어 있어 지명의 유래가 오래되었음을 보여 준다. 그래서 전통적 문화가 많이 남아 있는 곳이다.일신재나 그중에 구한말 일대의 선비들이 구국의 일념으로 머물렀던 유서 갚은 곳이다. 원풍정(願豊亭)
노문규(盧汶奎)
노문규(1850~1935)는 본관이 광산으로 자는 응삼(應三), 호는 송해(松海)이다. 1850년 7월 29일 당시 본촌면 일곡리에서 살았다. 오늘날 북구 일곡동이다.문장과 도덕을 갖추었으며, 편지로 간재(艮齋) 전우(田愚)와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 등과 교유하였다. 향교에서 유사를 맡은 여러 해 동안에는 읍강을 진흥하고,
김진현(金珍鉉)
김진현(1878~1966)의 본관은 광산이며 서방면 반용리, 현재의 북구 풍향동에서 살았다. 자는 경유(景儒)이며 호는 운파(雲坡)이다. 김진현은 광산(光山) 김씨이며 자는 경유(景儒), 호는 운파(雲坡)며 광주(光州) 서방(瑞坊)에서 출생하여 송사(松沙) 기우만에게 수학하였다. 그의 거처에서 율계栗溪 정기鄭琦(1879~1
기승섭(奇承燮)
기승섭(1976~1939)의 본관은 행주이다. 자는 치술(致述)이며 호는  월곡(月谷)이다.부 : 奇東秀조 : 奇連永증조 : 奇師復외조 : 洪洲 宋日宗처부1 : 珍原 朴瓊柱송사 기우만에게 수학하였고 1916년 송사 선생 襄禮 때 참석하였다.
기세관(奇世觀)
기세관(1890~1955)의 본관은 행주이다. 자는 광국(光國)이며 호는 양묵재(養默齋)이다. 부 : 奇蘭燮조 : 奇東參증조 : 奇夏雲외조 : 長澤 高濟馨처부1 : 長興 高燦柱송사 기우만에게 수학하였고 기우만의 문인들이 寒泉齋에서 계를 맺었다. 1924년 담대헌(澹對軒)의 중건 때 330냥을 성금으로 내었다.담대헌은 노사 기
기동직(奇東稷)
기동직(1869~1919)의 본관은 행주이며 자는 중백(仲百)이다.부 : 奇中鉉조 : 奇師贒증조 : 奇商胤외조 : 南平 文世憲처부1 : 咸平 李台範1916년 송사 기우만 선생 장례를 지낼 때[襄禮] 참석하였다.*참고 『澹對軒重建扶成錄』
기동준(奇東準)
기동준(1869~1918)의 본관은 행주이며 자는 평중(平仲), 호는 춘담(春潭)으로 진사를 지냈다.부 : 奇昌鉉조 : 奇文國증조 : 奇象德외조 : 海州 崔煥潤처부1 : 長興 高濟斗1860년 11월 17일 奇大升의 후손인 昌鉉의 아들로 光州 廣谷里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용모가 단정하고 총명하였으나 잦은 질병에 시달렸다. 평소 어
기양김공묘갈명비
광주시 광산구 양동 마암마을1920년이 기양김공묘갈명비(箕陽金公墓碣銘碑)는 천안김씨 문중에서 관리한다. 기우만이 찬했다.
숙부인전주이씨사적비각
광주시 광산구 도산동 원도산마을1913년이 숙부인전주이씨사적비각(淑夫人全州李氏事蹟碑閣)는 기우만이 찬했다. 선판규씨 집안이다.
정구신도비
광주시 북구 탑골길 35(장등동) 사성재(思誠齋)이 정구신도비(鄭球神道碑)는 장등동 장등마을에 있다. 기우만이 찬했다.
유인정씨효열비
광주시 북구 생룡동 136-1 (생룡마을 입구)1951년이 유인정씨효열비(孺人鄭氏孝烈碑)는 범희덕范熙德 짓고 김진현金珍鉉 쓰다. 생룡마을의 범씨 문중 松林 범만식 선생에게 19세에 시집 와서 26세의 젊은 나이에 남편을 여의고 시부모님을 극진히 봉양하며 어린 두 아들을 키우고 한평생을 수절한 연일정씨 효열비이다.
해광송선생지천
광주시 북구 무등로 1040(화암동)이 해광송선생지천(海狂 宋先生支阡)은  《송자대전》과 《해광집》에는 海狂處士宋公墓表로 기록되었고, 이 해광송선생지천은 석곡수원지 위 관광도로 동쪽에 있던 묘비를 옮겼다.호남에는 옛날부터 으뜸가고 위대하며 어질고 뛰어난 선비들이 많았지만 그중에서도 세상을 잘못
최기룡(崔基龍, 1843∼1913)
죽파(竹坡) 최기룡(崔基龍 1843~1913)의 자는 찬서(贊瑞).  본관은 경주(慶州). 최유환(崔有煥)의 아들로 광주 지산리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선천적으로 성실하고 친절하며 인정이 두텁고 의지와 취향이 훌륭하였다. 8세에 글을 쉽게 배우고 일취월장하여 주자(朱子)의 글을 한 번 읽으면
서헌거사안공의적비
광주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15 (광주공원)1967년이 서헌거사안공의적비(瑞軒居士安公義蹟碑)는 서헌거사라 불린 안규용(安圭容, 1860-1910)의 의적비이다. 죽산안씨 21세인 그의 자(字)는 공삼(公三)이고, 봉곡(鳳谷, 저불마을 또는 봉곡마을이라 불리웠던 광주시 북구 오치동의 옛이름)은 그가 세거했던 지명이다.1931년 간
편방사유허비
편방사(片坊祠) 유허비(遺墟碑)는 <광주읍지>에 따르면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음기(陰記)가 있다.최초의 경렬사는 인조 22년(1644)에 현재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동 74번지에 편방사(片坊祠)라는 이름으로 건립되었다. 이곳은 정지 장군이 말년에 낙향했던 곳이 광주목 편방면이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경렬공
이종-율원군사당유허비
광주시 광산구 장덕동 1291-1(수완지구 근린5-4호 공원)율원군(栗元君) 이종(李宗) 사당(祠堂) 유허비(遺墟碑)<광주읍지>에 따르면 주(州)의 북쪽 30리의 거리인 완동(莞洞)에 있는 비석이다. 그의 후손인 긍의(兢儀) 기섭(起攝) 강호(康五) 등이 서로의 힘을 모아 설치(移建)하였다. 이들의 이러한 일은 오로지 옛날
전중판사사 건천 정광신도비
광주시 남구 진월동1916년전중판사사(殿中判寺事) 건천(巾川) 정광(程廣) 신도비(神道碑)주(州)의 서쪽 5리의 거리인 금당산(金堂山)에 있는 비석으로 이천(伊川)의 사손(祀孫) 오경박사(五經博士) 광인(廣仁)의 전서(篆書) 및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명사(銘詞)가 있다.<명 문(銘文)>한산정씨(韓山程氏) 선조이
송파 김해김공 유인 밀양박씨 효열비
광주시 남구 진월동(노대동) 노대마을1914년노대마을 앞에 송파 김경두(松坡 金炅斗)의 처 밀양 박씨의 효열(孝烈)을 기념하는 비가 있다.효덕동 노대마을 입구에 위치해 있으며, 비문의 내용은 송파 김경두와 그의 부인 밀양박씨의 효행에 대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비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오직 효(孝)와 열(烈)은 삼강(
노대-만오정(晚悟亭)
만오-정(晚悟亭) 【정】 노대 서쪽, 어귀에 있는 정자. 가의대부(嘉義大夫) 윤하검(尹夏儉)이 세워 시를 읊고 노닐었음. 조선 말기 의 의병장 송사(松沙) 기우만의 기(記)가 있음
평택임씨 삼강유허비/ 정려각
광주시 광산구 탑동길 93(지산동 277-1 탑동마을 )1915년이 평택임씨삼강유허비(平澤林氏三綱遺墟碑)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전사한 임영수(林英秀)와 그 아들 임계(林桂) 그리고 남편에게 절의를 지킨 아내와 며느리를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비갓을 갖춘 화강암제로 되어 있고, 현재 평택임씨문중 소유이다. 비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